본문 바로가기

401K2

시작하면 중간은 간다는 TDF에 대해 알아보자 (DC/IRP/안전자산) 1. TDF란 무엇인가? Target (정해놓은) Date (날짜를) Fund (펀드) 매수하고자 하는 사람의 은퇴하는 날짜를 정해놓은 것 위 사진처럼 생애주기에 따라 운용사가 포트폴리오를 알아서 조정하는 펀드이다. 연금자산을 투자할 때는 연금으로 타기 전까지 그 긴 기간 동안 본인이 펀드를 바꾸어줘야 하는 부담감을 덜어주며 나이대별로 구분을 해놓은 것이다 2. TDF의 장점 첫째. 주식, 채권, 원자재 등 자산배분을 해야 하는 부담 둘째. 나이가 들수록 안정적인(보수적인) 채권으로 리스크 관리를 해줘야 하는 부담 셋째.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을 해야 하는 작업에 대한 부담 이러한 부담스러운 일들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TDF이다. 퇴직연금(401K)이 매우 발달되어있는 미국에서도 T.. 2022. 9. 29.
누구나 첫 시작의 재테크 "퇴직연금"(퇴직금/DC형/DB형/IRP) 1. 퇴직금 제도부터 알아봅시다. 첫째. 근로자의 계속 근로연수 1년에 대해 한 달 치 이상의 평균 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 둘째. 퇴직 직전의 3개월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일시금으로 지급 1.1 근로자 입장에서 퇴직금 제도의 단점 첫째. 기업이 갑자기 망하는 경우 퇴직금이 체불되는 경우가 있다 (퇴직금의 불안정성) 둘째. 이직 및 중간정산 등으로 조기 소진될 경우가 있다 (노후보장의 불완전성) 1.2 기업 입장에서 퇴직금 제도의 단점 첫째. 연봉제와 퇴직금 제도의 동시 적용으로 퇴직금 수령금액의 차이 발생 둘째. 임금피크제 등 새로운 제도의 제약 요인 등으로 경영효율 개선을 방해 위와 같은 단점들로 인해 퇴직연금 제도가 생겨난 의의이다. 2. 퇴직연금 제도와 종류에 대해.. 2022.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