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RP5

연금저축펀드 유지할 때 도움되는 팁들 연금저축이 좋다고 해서 개설을 하긴 했는데 그 이후에는 상품 선택이라는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상품 선택은 본인의 취향이 많이 반영되는 결정이기 때문에 유튜브나 블로그를 보고 선택하시는 분도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추천받는 것은 본인의 취향에 맞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팁을 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 포스팅을 진행하려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유지할 때 도움 되는 팁에 대해 알아볼게요. 1. 현금보단 MMF 현금으로 두실 거라면 MMF를 매수해 두자는 겁니다. 연금 저축은 한 번에 넣기도 하고 매달 적립식으로 쪼개서 넣기도 합니다. 본인의 능력에 맞게 해마다 몇십만 원에서 몇백만 원 정도 넣고 있으실 겁니다. 연금 저축에 입금을 하고 아무것도 안 하면 현금 상태로 있게 되는데 우선 입.. 2022. 11. 15.
장점만 있을 거 같은 퇴직연금의 한계점(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퇴직연금의 종류, 장점 등에 대해서는 무수히 들어보고 가입되어 운용 중이 대부분 일 것이다. 하지만 제도의 헛점은 당연히 있는 법. 그래서 퇴직연금의 한계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퇴직연금은 시장의 영향을 받는다 DC형을 운용하는 개인의 역량과 이해가 부족하다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와 같은 금리 인상시기, 러시아 전쟁, 미중 갈등 등의 의해서 곧 은퇴를 할 노동자의 퇴직연금이 시장의 영향으로 불과 1년 사이에 액수가 달라지면 그 목돈이 경기침체니 뭐니 하면서 마음을 흔들 수 있다. DB형의 경우는 회사가 손실을 메꿔야 하는 상황이니 회사가 휘청일 수 있다. 2. 수수료 기존의 퇴직금제도에서는 회사 내에서 그 돈을 다 관리하고 적립하고 운용하고 지급하는 방식이었는데 퇴직연금 제도 하에서는.. 2022. 10. 21.
바뀌는 연금관련 세법에 대해 알아보자(22년 7월 세제개편안) 22년 7월에 발표한 세제개편안 중 연금 관련 세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차근차근 알아봅시다 1. 세액공제 한도 200만 원 증가 기존 총 700만 원의 세액 공제에서 총 900만 원의 세액공제로 200만 원이 늘어난다. 1.1 연금 저축을 이용하는 경우 연금 저축 400만 원 + IRP 300만 원의 총 700만 원 -> 연금 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 총 900만 원 1.2 연금 저축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IRP 700만 원의 세액 공제 -> IRP 900만 원 세액 공제 2. 고소득자 세액공제 구간이 사라졌다. 1.2억 원 초과 소득자에 연금저축 300만 원 세액공제가 싹 사라지며 다른 구간의 소득자와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아직 좀비정처럼 초고소득자에 들지 않는 분들이.. 2022. 10. 11.
시작하면 중간은 간다는 TDF에 대해 알아보자 (DC/IRP/안전자산) 1. TDF란 무엇인가? Target (정해놓은) Date (날짜를) Fund (펀드) 매수하고자 하는 사람의 은퇴하는 날짜를 정해놓은 것 위 사진처럼 생애주기에 따라 운용사가 포트폴리오를 알아서 조정하는 펀드이다. 연금자산을 투자할 때는 연금으로 타기 전까지 그 긴 기간 동안 본인이 펀드를 바꾸어줘야 하는 부담감을 덜어주며 나이대별로 구분을 해놓은 것이다 2. TDF의 장점 첫째. 주식, 채권, 원자재 등 자산배분을 해야 하는 부담 둘째. 나이가 들수록 안정적인(보수적인) 채권으로 리스크 관리를 해줘야 하는 부담 셋째.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을 해야 하는 작업에 대한 부담 이러한 부담스러운 일들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TDF이다. 퇴직연금(401K)이 매우 발달되어있는 미국에서도 T.. 2022.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