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3 바뀌는 연금관련 세법에 대해 알아보자(22년 7월 세제개편안) 22년 7월에 발표한 세제개편안 중 연금 관련 세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차근차근 알아봅시다 1. 세액공제 한도 200만 원 증가 기존 총 700만 원의 세액 공제에서 총 900만 원의 세액공제로 200만 원이 늘어난다. 1.1 연금 저축을 이용하는 경우 연금 저축 400만 원 + IRP 300만 원의 총 700만 원 -> 연금 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 총 900만 원 1.2 연금 저축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IRP 700만 원의 세액 공제 -> IRP 900만 원 세액 공제 2. 고소득자 세액공제 구간이 사라졌다. 1.2억 원 초과 소득자에 연금저축 300만 원 세액공제가 싹 사라지며 다른 구간의 소득자와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아직 좀비정처럼 초고소득자에 들지 않는 분들이.. 2022. 10. 11. 누구나 첫 시작의 재테크 "퇴직연금"(퇴직금/DC형/DB형/IRP) 1. 퇴직금 제도부터 알아봅시다. 첫째. 근로자의 계속 근로연수 1년에 대해 한 달 치 이상의 평균 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 둘째. 퇴직 직전의 3개월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일시금으로 지급 1.1 근로자 입장에서 퇴직금 제도의 단점 첫째. 기업이 갑자기 망하는 경우 퇴직금이 체불되는 경우가 있다 (퇴직금의 불안정성) 둘째. 이직 및 중간정산 등으로 조기 소진될 경우가 있다 (노후보장의 불완전성) 1.2 기업 입장에서 퇴직금 제도의 단점 첫째. 연봉제와 퇴직금 제도의 동시 적용으로 퇴직금 수령금액의 차이 발생 둘째. 임금피크제 등 새로운 제도의 제약 요인 등으로 경영효율 개선을 방해 위와 같은 단점들로 인해 퇴직연금 제도가 생겨난 의의이다. 2. 퇴직연금 제도와 종류에 대해.. 2022. 9. 28. 연금저축 수령에 대해 알아보자 (feat. 노후준비) 친구 및 지인들에게 이전 연금저축펀드로 etf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읽어보라고 알려줬지만 주식을 하는 친구조차 연금저축에 대해 어렵고 무슨 말인지 헷갈리다고 하기에 조금 더 세밀하고 글을 쓰고자 추가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1번 보는 거 보단 2번 보는 게 이해도 쉽고 기억에도 많이 남길 바라며... 1. 가입대상 연력 제한 없이 누구나 가능하다 2. 납입한도 연간 납입한도는 1,800만 원이며 분기 납입한도는 없다 (다른 금융사의 연금저축 + IRP도 합산) 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다시피 현재 소득공제는 연 400만 원까지만 가능하다. (월 33.3만 원 x 12개월 = 약 400만 원) 내년부터는 연 600만 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니 다시 한번 기억해보자 (월 50만 원 x 12개월 = 6.. 2022. 9.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