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30

주식 주문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자 (feat. 지정가, 시장가 등) 주식 주문을 하려고 하면 나오는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등 주문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떨 때 활용하면 될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기 위해 포스팅을 진행하려 합니다. 다시 장이 좋아지는 요즘 주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찾아보시는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차근차근 알아보고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주문의 원칙. 1 우선순위가 있다 주식 주문을 낼 때는 항상 두 가지를 꼭 입력해야 됩니다. 이 두 가지 중에서 나의 체결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은 가격입니다. 우리가 내는 제각각의 수많은 주문이 시장에 쏟아질 텐데요. 이런 주문들이 체결되는 원리는 이 가장 일 순위입니다. 그다음이 입니다. 비싸게 부른 사람이 최고 VIP 대접을 받는 거고 그다음이 먼저 주문한 사람입니다. 내가 사기로 한 가격을.. 2022. 11. 17.
연금저축펀드 유지할 때 도움되는 팁들 연금저축이 좋다고 해서 개설을 하긴 했는데 그 이후에는 상품 선택이라는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상품 선택은 본인의 취향이 많이 반영되는 결정이기 때문에 유튜브나 블로그를 보고 선택하시는 분도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추천받는 것은 본인의 취향에 맞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팁을 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 포스팅을 진행하려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유지할 때 도움 되는 팁에 대해 알아볼게요. 1. 현금보단 MMF 현금으로 두실 거라면 MMF를 매수해 두자는 겁니다. 연금 저축은 한 번에 넣기도 하고 매달 적립식으로 쪼개서 넣기도 합니다. 본인의 능력에 맞게 해마다 몇십만 원에서 몇백만 원 정도 넣고 있으실 겁니다. 연금 저축에 입금을 하고 아무것도 안 하면 현금 상태로 있게 되는데 우선 입.. 2022. 11. 15.
좋다고 하지만 대부분 하지 않는 '자산 배분'에 대해 알아보자 많은 사람들이 하면 좋다고 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지 않는 자산 배분에 대해 포스팅을 진행해 볼까 합니다. 지금과 같은 길고 긴 하락장에서의 남들보다 나은 버팀목이 되어줄 그리고 고수들이 하고있는 전략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자산 배분(Asset Allocation)이란? 여러 가지 자산을 섞는 것. (투자금을 주식, 채권, 원자재, 금, 외환 등을 함께 구성하는 것) 그리고 조금 더 나눠서 얘기하자면 삼성전자, 현대차, 네이버와 같이 나누는 걸 종목 분산, 미국 주식, 한국 주식, 중국 주식과 같이 나누는 걸 국가 분산, 주식을 살 때 매달 얼마씩 나누어 사면 시간 분산 이 자산배분 이론은 이미 1980년대부터 계속해서 연구되고 있는 영역입니다. 1986년 개리 브린슨이 90개가 넘는 연.. 2022. 11. 12.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2편 앞서 1편에서 개념, 종류, 수수료&보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어서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말은 기본적인 개념은 쉬웠지만 종류, 수수료&보수가 어려웠어서 장단점에 대해서 걱정하실 수도 있지만 조금 더 쉽게 포스팅을 진행해 볼게요. 1. 펀드의 장점 1.1 누가 대신해준다 대표적인 간접 투자 상품이죠. 간접투자는 운용상의 가장 핵심적인 것을 전문가가 대신해주고 일정 비율의 보수를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처럼 이렇게 온라인상으로 무언가를 찾아보고 공부를 하시는 분들은 이 펀드에 내는 1%의 수수료가 매우 비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 정도의 보수를 지급해도 되니 "나는 너무 귀찮다", "나는 너무 바쁘다" 이런 분들에게는 여전히 괜찮은 투자 방법으로 통하고 있습니다.. 2022.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