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1편에서 개념, 종류, 수수료&보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어서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말은 기본적인 개념은 쉬웠지만 종류, 수수료&보수가 어려웠어서 장단점에 대해서 걱정하실 수도 있지만 조금 더 쉽게 포스팅을 진행해 볼게요.
1. 펀드의 장점
1.1 누가 대신해준다
대표적인 간접 투자 상품이죠. 간접투자는 운용상의 가장 핵심적인 것을 전문가가 대신해주고 일정 비율의 보수를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처럼 이렇게 온라인상으로 무언가를 찾아보고 공부를 하시는 분들은 이 펀드에 내는 1%의 수수료가 매우 비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 정도의 보수를 지급해도 되니 "나는 너무 귀찮다", "나는 너무 바쁘다" 이런 분들에게는 여전히 괜찮은 투자 방법으로 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상품에는 보통 잘 되지 않는 완전한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자동이체를 걸어두고 자동으로 특정 날짜에 이체가 되어서 펀드가 매수되는 것까지 자동화해놓고 신경 전혀 안 쓰고 5년이고 10년이고 모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주식 투자라는 것에 매달 30만 원씩 해놓고 10년 뒤에 열어보겠다. 이런 분들에게는 아주 유용한 툴이 될 수 있습니다.
1.2 분산투자가 자동으로 된다
펀드는 분산투자가 아주 기본적인 원칙이고 그것이 강제화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펀드 안에서 특정 '종목'을 담을 때는 하나의 종목을 10% 이상 담지도 못하게 되어있고 강제로 분산할 수밖에 없게 되어있습니다. 주식형 펀드를 살 때 주식 '종목'이 작아도 수십 개가 들어있고, 많다면 수백 개까지 이렇게 다양하게 들어가 있죠. 우리가 많은 종목들에 공부를 해서 분산투자를 하는 게 되게 어려울 수 있습니다. 펀드는 내가 만원으로 한 좌(펀드의 단위)만 산다고 하더라도 분산이 되어 있다는 건 가장 기본적인 장점입니다.
1.3 적립식으로 하기 좋다
적립식이라고 하면 매달 얼마씩 얼마의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부어서 목돈을 만들기 위한 것이 일차적인 목표입니다. 은행에 적금이 있다면, 증권사에는 적립식 펀드가 있습니다. 아주 긴 시간 동안 수많은 횟수로 쪼개서 매수를 하면 나는 매번 똑같은 금액으로 투자를 하는 거지만 가격이 하락했을 때는 많은 수량을 사게 되고 가격이 비싸게 되면 적게 사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즉, 장기적으로 적립식으로 투자를 하면 리스크 관리 효과가 자동으로 생기게 됩니다.
1.4 자의 반 타의 반 장기투자를 하게 된다
주식을 사는 사람은 차트를 눈앞에 딱 켜놓고 하루 종일 보고 움직이고 있지만 펀드를 산 사람은 보통 신경을 안 씁니다. 펀드는 정말 오랫동안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게다가 펀드는 환금성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에 급한 돈이 필요해도 펀드를 잘 안 팝니다.
1.5 투자 스케줄을 나에게 맞게 짜기 편하다
보통 펀드를 세팅을 할 때는 만기를 우리가 마음대로 정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6개월, 1년, 3년 이런 식으로 요.
1.6 세제 혜택 받을 상품이 많다
연금저축, IRP, ISA 등은 특수한 목적이 있는 것들은 계좌에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우리에게 혜택을 줬죠. 모두 펀드를 기본 베이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우리는 펀드를 통해서 나라에서 주는 많은 세제 혜택을 얻어갈 수 있습니다.
2. 펀드의 단점
2.1 비용이 더 든다
간접 투자이기 때문에 비용이 더 든다는 겁니다. 펀드는 특성상 부담스러운 보수를 낼 수밖에 없습니다. 주식은 수수료 경쟁이 너무 심해져 수수료가 거의 없어졌습니다. 하지만 펀드는 경쟁이 있다고 해도 한계가 있습니다. 구조상 어느 정도의 보수가 들어갈 수밖에 없고 이게 지금 펀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입니다.
2.2 종류가 너무 많다
우리나라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의 개수는 약 2,000개 정도라고 합니다.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만들어진 펀드는 훨씬 많습니다. 그래서 주식을 고르는 것보다 펀드를 고르는 게 어렵다고 말할 정도이지요. 특정 섹터를 알아보려고 ETF를 보면 몇 개 안 나오지만 펀드를 검색해서 보면 무지하게 많이 나옵니다. 대장 개념의 펀드는 잘 없어서이죠
2.3 새로운 펀드의 등장으로 기존의 펀드가 트렌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지속적으로 펀드매니저들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아주 인기가 많고 핫한 새로운 트렌드가 나오게 되면 회사나 매니저들이 핫한 트렌드에 집중하느라 과거의 다른 펀드가 소외될 수 있습니다.
2.4 누군가에게 의존하다 보니 본인의 실력이 늘지 않는다
본인이 공부하고 하는 것보단 펀드매니저의 의존해서 투자를 하다 보니 본인의 실력을 늘릴 기회가 줄어듭니다.
2.5 환금성이 떨어진다
요즘처럼 모든 것이 빠릿빠릿하게 바뀌는 시대에 희한하게 펀드는 현금이 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만약 오늘 이 펀드를 팔 것이라고 환매 신청을 하게 되면 오늘 우리나라에서 환매 신청을 한 사람들의 것을 다 모아 내일 펀드매니저에게 전달이 됩니다. 또 그걸 팔게 되면 이틀이 더 걸리게 됩니다.
3. 나의 한마디
1편과 2편으로 나누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해가 잘 되었을지 모르겠네요. 본인의 마음에 맞는 투자 방법과 스킬을 찾으셔서 좋은 성투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편을 못 보고 지나치신 분들은 아래 링크드릴게요
2022.11.08 - [재테크] -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1편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1편
흔하디 흔하고 기초 중의 기초인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래전부터 무르익은 시장이다 보니 말씀드릴 내용이 상당히 많지만 매우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알아볼게요. 그리고 ETF도
zombiejeong.tistory.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펀드 유지할 때 도움되는 팁들 (31) | 2022.11.15 |
---|---|
좋다고 하지만 대부분 하지 않는 '자산 배분'에 대해 알아보자 (31) | 2022.11.12 |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1편 (19) | 2022.11.08 |
안전 자산(?) 채권에 대해 알아보자(2편. 3요소, 수익, 장점, 리스크) (32) | 2022.11.06 |
안전 자산(?) 채권에 대해 알아보자(1편. 뜻과 특징, 주식의 차이, 구조, 종류) (26) | 2022.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