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1편

by 좀비정 2022. 11. 8.

흔하디 흔하고 기초 중의 기초인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래전부터 무르익은 시장이다 보니 말씀드릴 내용이 상당히 많지만 매우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알아볼게요. 그리고 ETF도 펀드의 일종이지만 ETF는 전에 포스팅으로 다뤘으니 ETF를 제외한 일반적인 펀드에 대해서만 국한해서 알아봅시다

출처:슈링클
출처:슈링클

1. 펀드의 개념

펀드는 대표적인 간접투자상품입니다. 간접투자라는 것은 이것도 결국 주식과 채권에 투자를 하는 것인데 어떤 것을 골라 담고 어떤 것을 사고팔지를 누군가가 대신해주는 겁니다. 이런 사람들을 펀드매니저라고 하죠. 펀드는 일종의 펀드매너지들이 굴리는 '돈뭉치'입니다. 우리는 펀드매니저의 얼굴을 직접 볼 필요도 없이 그 돈뭉치에 돈을 넣기만 하면 됩니다. 그럼 펀드매니저가 알아서 주식도 사고팔고, 채권도 사고팔고, 원자재도 사고팔고 다 알아서 해줍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펀드의 탄생 과정을 예를 들어 가정해볼게요.

한 친구들의 무리가 있습니다. 이중에 좀비정이라는 친구가 있는데 주식 투자를 아주 잘해서 처음에는 100만 원으로 주식을 시작했다고 들었는데 그동안 수익률이 많이 올라서 130만 원이 되어 있는 겁니다. 30%의 수익이 난 거죠. 그래서 이 돈을 버는 걸 다 지켜본 친구들이 "야 너 진짜 주식 잘하네 같이 좀 하자"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일종의 투자를 위한 계모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나머지 친구들은 돈을 싹 모아서 각자 투자금을 좀비정에게 전 해면서 "여기 1억 원을 모와왔어. 이 1억 원을 가지고 네가 하던 방식대로 너의 돈이라 생각하고 똑같이 투자를 해서 불려줘" 이렇게 말하자 좀비정은 "부담스러우니 잘 못하겠다" 그러자 친구들이 "이 전체 돈에서 해마다 1%를 떼어가. 그러면 네가 원래 하던 100만 원과 같고 고생한 대가도 치를 수 있겠네"

다른 친구들보다 좀 더 전문성도 있던 좀비정은 1%의 보수를 받고 친구들은 투자 이익을 본인들이 운용할 때보다는 높은 확률로 이득을 취할 수 있으니 서로의 니즈가 통해서 회사를 만들면 그것이 바로 좀비 정자 산운용이라는 펀드 회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었을 뿐이지 개인끼리 돈을 맡기고 투자하는 것은 불법)

펀드매니저
펀드매니저

다양한 운용사에서 다양한 본인들만의 전략으로 펀드를 만들어서 내놓습니다. 그래서 모든 펀드에는 펀드매니저라는 사람의 이름이 떡하니 붙어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전략을 시도를 합니다. 배당주에만 투자를 하는 배당주펀드, 중국 주식에만 투자를 하는 차이나펀드, 미국 주식에만 투자를 하는 미국 펀드 등 어떤 전략을 구사를 하는지 그리고 채권을 얼마큼 섞는지에 따라서 무한한 수의 펀드가 만들어지는 거죠.

2. 펀드의 종류

2.1 주식형 펀드 (주식 60% 이상)

주식형 펀드
주식형 펀드

2.2 채권형 펀드 (채권 60% 이상)

채권형 펀드
채권형 펀드

2.3 혼합형 펀드 (주식+펀드)

혼합형 펀드
혼합형 펀드

혼합형 펀드 중에서도 채권이 조금 더 많으면 채권혼합형 펀드, 주식이 조금 더 많으면 주식혼합형 펀드, 현금성 자산에만 투자가 되는 MMF, 한국에만 투자하는 국내 펀드 그리고 해외에만 투자하는 해외펀드, 외국에서 운용하고 있는 펀드를 역외펀드, 이런 것들을 당겨 오는 것을 재간접펀드라고 부릅니다.

3. 수수료&보수

운용사: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KB자산운용 등등

판매사:미래에셋 대우, 신한은행, NH투자증권, 우리은행, 삼성증권, 국민은행 등등

운용사는 펀드매니저가 있는 회사입니다. 이걸 판매하는 곳은 은행과 증권사입니다. 판매만 할 뿐 운용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판매한 대가로 판매보수라는 걸 받습니다. 운용사는 어디 판매사에서 판매가 되는지 신경 안 쓰고 정해진 보수를 받고 펀드매니저들이 운용을 하겠죠. (*설명해주는 곳에 가는 것보다 인터넷으로 펀드를 살 때가 가장 쌉니다)

많은 사람들이 펀드의 보수에 대해서 민감하게 받아들이는데요. 그 이유는 펀드가 어떻게 운용되는지에 대해서 우리가 직접적으로 관여를 하거나 지켜볼 수 있는 게 많이 없습니다. 하지만 보수라는 건 우리가 매수하기 전에 명확하게 비교를 해 볼 수 있는 것이 보수이기 때문에 전략을 비교를 하면서 좀 더 좋은 전략을 찾기보다는 보수를 비교하면서 좀 더 싼 펀드를 찾게 됩니다.

수수료(COMMISSION):한번 떼는 겁니다. 보통 '커미션'이라고 합니다.

보수(Fee):계속 떼 나가는 겁니다. '퓌'라고 합니다.

KB스타 재팬 인덱스(주식-파생형) A, 미래에셋 고배당 포커스 연금저축 증권 전환형(주식) Ce, 삼성 픽테 로보틱스 UH(주식-재간접) C-p, KB글로벌 리얼에셋 인컴(채권) C-Pe

펀드 클래스 예시
펀드 클래스 예시

A클래스는 매수를 하면 선취수수료를 1% 이내로 먼저 떼 갑니다. 총보수를 한 번에 계좌에서 떼 가는 방식이 아니라 펀드의 수익률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습니다. 환매수수료는 따로 없습니다 (거의 없어지는 추세)

C클래스는 매수를 할 때 선취수수료가 아예 없습니다. 해마다 총보수를 A보다는 높게 떼 갑니다. 마찬가지로 환매수수료가 없습니다.

즉, A와 C의 차이는 살 때 선취수수료를 내고 가지고 있는 동안 조금 낼 것이냐와 아니면 선취수수료를 내지 않고 가지고 있는 동안 보수를 더 낼 거냐 차이입니다.

P는 C 다음에 항상 P가 붙는데 pension이라는 뜻으로 연금 펀드를 뜻하는 겁니다. 즉, 연금 펀드는 C클래스로만 구성. A클래스가 없습니다. 그래서 연금펀드는 모두 C클래스이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동안 나가는 보수만 있는 펀드들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연금저축펀드 계좌 내에서 펀드를 계속 바꾸어도 선취와 환매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교체하는 것에 대한 비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겁니다. 그리고 보수도 낮게 세팅이 되어있습니다.

e는 온라인 전용펀드라고 해서 오프라인으로 누군가에게 상담을 받거나, 지점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수수료와 보수 모든 것이 훨씬 낫습니다

보수,수수료 정리표
보수, 수수료 정리표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는 2편으로 와주세요

2022.11.08 - [재테크] -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2편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2편

앞서 1편에서 개념, 종류, 수수료&보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어서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말은 기본적인 개념은 쉬웠지만 종류, 수수료&보수가 어려웠어서 장단점에 대해서

zombiejeong.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