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를 시작하기 전부터 채권이란 용어에 대해서는 무수히 들어봤을 것이며, 투자를 시작하면서는 더욱 많이 들어봤을 채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솔직히 저도 채권에 대해서는 모르는 게 너무 많습니다. 제가 공부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포스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그래도 용어 하나하나가 낯설고 어려운 점도 있으니 차근차근 알아보죠. 과연 채권은 안전한가? 안전자산(?) 채권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채권의 뜻과, 특징
돈을 빌리면서 이자와 원금을 언제 갚겠다고 약속한 걸 적어놓은 증서 (돈을 갚겠다고 적어놓은 차용증서)
채권을 발행한 사람이 '발행자'이자 '채무자'가 되어서 돈을 갚아야 하는 사람이고, 반대로 이 채권을 산 사람은 '투자자'이자 '채권자'가 되어 돈을 받아야 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채권자가 되는 겁니다.
채권은 보통 만기라는 기간을 정해놓고 만기까지는 정해진 이자를 주다가 만기가 되면 원금을 돌려주는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 중요한 것은, 정해진 날짜에 이자와 원금을 받는 것)
기업의 주식의 가격은 실적에 따라서 오르락내리락하지만 채권의 원금을 못 갚을 정도로 파산하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불린다.
이런 채권이 존재하는 이유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기적으로 이자를 받기 위해서 투자를 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필요한 돈을 한 번에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발행을 합니다. 이자를 갚는 금액과 스케줄 등이 사전적으로 다 정해져 있다고 해서 채권을 Bond 또는 Fixed income이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2. 주식과 채권 (주식과의 차이)
이 두 가지의 길로 기업에 자금이 공급이 되고 기업은 그 돈으로 열심히 기업활동을 해서 우리의 삶을 더 윤택하기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장사가 잘 되는 가게가 있고 그 가게를 확장하려고 한다면 수익으로 가게를 확장시킬 수 있지만 조금 더 빨리 자금을 조달해서 빠른 확장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할 경우 이때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2가지로 투자자가 "수익이 나면 반반 나눕시다"의 경우는 주식이고, "3년 동안 빌려줄 테니 이자를 주시오"의 경우는 채권입니다. 이것이 주식과 채권의 차이입니다.
주식은 (주주가) 동업을 하는 것이므로 기업이 흥하면 더 흥하고 기업이 망하면 같이 망합니다. 주주가 가지고 있는 것은 '주식'이라고 부르고 이렇게 조달된 돈을 '자기자본'이라고 부릅니다.
채권은 (채권자가) 동업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돈만 빌려 주는 겁니다. 이 기업이 성장과 상관없이 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채권자가 가지고 있는 것은 '채권'이라고 부르고 이렇게 조달된 돈은 회사의 돈이 아니기에 '타인자본'이라고 부릅니다
3. 채권의 구조
1. A라는 친구가 B라는 친구에게 돈을 빌린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A는 B에게 "만 원만 빌려줘 내일 갚을게"라고 하고 내일 이자 없이 갚는 경우는 '단기채권'이라고 불립니다. 우리가 CMA에 자금을 예치하면 소정의 이자를 받는 것이 주로 이런 채권에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짧을수록 리스크가 작고 이자도 작습니다.
2. A는 B에게 "만 원만 빌려줘 10년 뒤에 만 오천 원으로 갚을게"라고 하면 10년 뒤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에 리스크가 큽니다. B가 거절을 하면 A는 다시 B에게 "3개월에 한 번 이자 400원의 이자를 주고 10년 뒤에 원금을 갚을게" 제안하고 B는 A에 대해 그동안 돈은 잘 갚는지에 대한 조사를 하고 제안을 성사합니다.
이처럼 2개의 예시를 보면서 용어를 알아봅시다
별도의 담보 없이 신용으로 돈을 빌렸다는 무보증사채, 3개월에 한 번씩 이자를 받는다는 3개월 이표채, 원금 10,000원과 이자 1년에 400원과 만기 10년은 표면금리 4%, 신뢰도를 조사한다는 신용등급
4. 채권의 종류
채권은 누가 사는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누가 발행했는지가 중요하죠.
공채 : 국채(국가가 발행, 가장 안전한 채권), 지방채(지방자치단체가 발행), 특수채(공사 등에서 발행)
사채 : 회사채(주식회사가 발행), 금융채(금융회사가 발행)
이어서 2편을 봐주세요
2022.11.06 - [재테크] - 안전 자산(?) 채권에 대해 알아보자(2편. 3요소, 수익, 장점, 리스크)
안전 자산(?) 채권에 대해 알아보자(2편. 3요소, 수익, 장점, 리스크)
채권 1편에 이어서 채권 2편을 보러 와주신 분들에게 먼저 감사 인사드립니다. 안전 자산(?) 채권에 대해 알아보자 2편 이어 가겠습니다. 1. 채권의 3요소 1.1 신용등급 당연히 A 쪽이 우량한 채권이
zombiejeong.tistory.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중의 기초 '펀드(Fund)'에 대해 알아보자. 1편 (19) | 2022.11.08 |
---|---|
안전 자산(?) 채권에 대해 알아보자(2편. 3요소, 수익, 장점, 리스크) (32) | 2022.11.06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ETF에 대해 알아보자(개념, 장점, 유의사항) (19) | 2022.11.04 |
미국에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9가지를 정리해보자 (31) | 2022.11.02 |
소액 부동산 투자 "리츠(REITs) 2편 (목적, 구조, 종류, 유형) (14)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