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금저축이란 무엇인가?
매월 일정액을 약정 기한 동안 납부하면 연금을 받는 금융 상품
2. 연금저축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3종류로 나누고 있다.
연금저축 펀드 - 증권사 ( ex) 미래에셋 )
연금저축 신탁 - 은행 ( ex) 국민은행 )
연금저축 보험 - 보험사 ( ex) 삼성생명 )
나와 같이 수익률을 높게 잡으며, 미국 시장에 투자를 위해서 증권사의 연금저축펀드를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3. 연금저축 계좌이동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 경우는 연금저축뿐만 아니라, 퇴직연금 IRP 경우에도 해당된다.
나는 IRP를 하나은행에서 멋모르고 은행원의 추천으로 가입하여 월 10만 원씩 납입을 했었다가 몇 년 뒤에 ETF에 투자에 관심이 많아지며 혹시 하나은행 IRP에 있던 납입금액을 증권사에 옮길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당장 미래에셋증권으로 옮긴 후 ETF에 직접 운용 중이다
미래에셋 어플을 깔고 계좌 이전 신청을 하면 하나은행에서 내 전화로 확인 절차 후 전액을 다 옮겨줬다
이걸 모르고 나처럼 무턱대고 가입 중이신 분은 당장 옮기시길 권유드린다.
4. 연금저축계좌 세금공제한도와 과세이연에 대해 알아보자.
월 33.3만 원을 12개월 납입하면 약 400만 원이 된다.
나처럼 연금저축펀드로 국내 상장 해외형 ETF를 운용하시는 분의 경우
국내 상장 해외형 ETF는 소득 실현 시 15.4%의 세금으로 낸다
하지만 55세 연금 만기 수령할 시에는 3.5% ~ 5.5% 연금 소득세를 낸다
그리고 해외 직접 투자 시에는 양도세가 22%를 낸다
추가적으로 연금저축공제 400만 원 + IRP 300만 원 총 700만 원까지 공제가 된다
내년부터는 연금저축의 경우 600만 원 (기존 400만 원+200만 원)까지 공제가 상향된다. 총 900만 원까지 가능하다
단, 만기를 채우지 않고 수령 시에는 16.5%의 기타 소득세를 조심하자
5. 연금저축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자.
미국의 SPY나 VOO 등이 아닌 국내에서 직, 간접적으로 투자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미국 나스닥 100, 2차 전지, 반도체, 차이나 CSI300 등 다양한 ETF 등을 자기 입맛에 맞게 운용하시면 됩니다
5.1 TIGER, KODEX, KINDEX 등의 의미는 무엇인가?
운용사의 브랜드명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미래에셋자산운용 - TIGER
삼성자산운용 - KODEX
한국투자신탁자산운용 - KODEX
외 KB, ARIRANG 등이 있다
6. 나의 한마디
복리의 마법을 믿자
자신의 능력에 맞게 납입을 해보도록 하자
돈 생 그냥 사이며 무지 성 매수이기에 큰 걱정 없이 투자하기 쉬운 방법이다
나는 월 개인저축의 34만 원을 넣고 있다. 무조건이고 나머지 돈으로 테슬라와 마소 위주로 매수하고 있다
이런 하락장일수록 오히려 든든하게만 느껴진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A 통장 대체 무엇인지 알아보자 (68) | 2022.10.12 |
---|---|
바뀌는 연금관련 세법에 대해 알아보자(22년 7월 세제개편안) (28) | 2022.10.11 |
시작하면 중간은 간다는 TDF에 대해 알아보자 (DC/IRP/안전자산) (66) | 2022.09.29 |
누구나 첫 시작의 재테크 "퇴직연금"(퇴직금/DC형/DB형/IRP) (24) | 2022.09.28 |
연금저축 수령에 대해 알아보자 (feat. 노후준비) (24)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