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CMA 통장 대체 무엇인지 알아보자

by 좀비정 2022. 10. 12.

달러
우리의 돈

CMA통장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리는 보통 은행 거래를 위해 보통 예금 계좌를 만들고 나서 월급도 받고, 신용카드 대금결제도 하고, 예적금도 하곤 한다.

은행의 보통 예금 = 증권사 CMA 계좌라고 쉽게 생각하면 된다.

 

1. CMA 통장이란?

Cash Management Account (=현금 관리 계좌)

증권사에서 만드는 은행의 보통 예금 계좌와 같은 개념의 통장이 CMA통장이라고 생각하자. 은행처럼 현금 입출금도 자유이면서, 증권사에서 주식이나 ETF 등에 투자도 가능하다.

 

2. CMA 통장의 종류

종류에는 종금형, RP형, MMF형, MMW형 4가지 종류가 있다.

CMA 통장의 종류
CMA 통장의 종류

종류에 대해서는 가볍게 이러이러한 것들이 있구나 정도로만 알자.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

 

3. CMA 통장의 장점

증권사 별로 다르지만 보통의 장점만 나열해서 보자면

3.1 이자를 매일 받을 수 있다. (일복리)

이자율이 연 2%라고 가정한다면, 오늘 들어 있는 통장의 자금이 1년 내내 들어있을 때 얻을 수 있는 2%의 이자 중에서 하루치를 계산해서 내일 계좌에 넣어준다 (+ 토스 파킹 계좌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쉽게 이해되실 거라 본다)

ex) 100만 원 기준 연 2% 이자시, 하루에 이자는 약 54원이 들어온다.

3.2 금리가 은행보다 조금 더 높다

묶어 놓지 않은 자금에 은행의 금리보다는 아주 약간 더 높은 금리를 준다 (금리 인상시기인 지금에는 더 차이가 날 수 있다) 현재 증권사의 금리는 2% 중반대를 주고 있다 (2022년 10월 11일 기준)

3.3 주식이나 ETF 투자에 바로 가능하다

CMA 통장을 보통 파킹용으로 사용하시는 데 파킹 계좌에서 위탁계좌로 대기자금을 넣어서 주식, ETF, 펀드 등에 투자를 할 수 있다. 

3.4 이체수수료, 출금수수료가 무료이다.

요즘 은행 어플이나 핀테크 회사들에서  무료로 해주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그 전에는 CMA만이 무료로 가능했었다.

 

4. CMA 통장의 단점

4.1 예금자 보호가 없다

은행의 같은 경우는 은행이 망했을 경우 예금자 보호가 되어 5,000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지만 증권사에서는 이러한 예금자 보호가 없다

4.2  파킹 통장으로서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다.

핀테크 기업들의 계좌의 매력도가 상당수 올라가서 CMA의 파킹 통장의 매력도가 많이 떨어지고 있다.

기준금리가 낮아질수록 수익률이 떨어진다.

 

5. 나의 한마디

증권사 별로 금리와 우대 조건 등이 조금씩 다른 걸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증권사를 결정했다면 비대면 계좌 개설한 후 본인 확인 전화통화 후 2~3일 내에 집으로 카드를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CMA가 금리도 더 높은데 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은행의 계좌를 만들어서 사용을 할까? 그것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은행의 '익숙함'에 의해서 인 것 같다. 인식적으로도 은행은 안전, 증권사는 위험이라는 인식도 많은 것 같다. 그리고 나 또한 CMA가 있으면서도 월급을 받으면 신용카드 발급 은행에 계좌에 일부 금액 이체하고 자동 이체된 계좌들에 나눠진 이후에 금액은 토스를 파킹 통장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투자자로서 여러 악재들이 많은 지금 멘탈 단단히 잡고 투자하자고요

댓글